집은 중국인, 땅은 미국인…부동산 '야금야금' 우리나라의 땅과 집을 사들이는 외국인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모양이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픽 제목처럼 우리나라 땅은 미국인이, 집은 중국인들이 가장 활발하게 사들이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먼저 나라를 이루는 요소의 하나인 땅부터 보면, 올해 6월 말 현재 외국인이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 땅은 모두 2억6천5백만㎡로 전체 국토 면적의 0.26%에 해당합니다. <br /> <br />비율로 볼 때 미약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영토라는 점에서 이 비율도 적은 게 아니고요,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011년 1억9천만㎡에서 2013년 단 한 해를 제외하고 매년 증가해, 13년 6개월 만에 40% 정도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 땅을 소유한 외국인을 국적별로 보면 미국이 53.3%로 가장 많고, 중국과 유럽, 일본 순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지역별로 보면 경기도가 18.4%로 가장 많고 전남 14.7%, 경북 13.7% 등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땅을 소유한 외국인 가운데 55.5%가 교포인데, 미국으로 이민한 교포가 아무래도 많다 보니 결과적으로 미국인의 보유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네, 땅은 그렇고 주택, 집은 중국인이 많이 보유하고 있다는데, 어느 정도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올해 6월 말 기준 외국인이 소유한 우리나라 집은 95,078채로 전체 주택 수의 0.49%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집 소유 외국인을 국적별로 보면 중국이 55.5%, 미국이 22.5%, 그 다음이 캐나다, 타이완, 호주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이 소유한 집의 종류를 보면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이 91%를 차지했고, 지역으로는 수도권이 73%로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집을 보유하게 된 경위는 땅과는 좀 다른 양상인데요, <br /> <br />토지의 경우 한국에 가족이나 땅을 남겨두고 이민을 가서 미국 국적의 2세가 자동으로 보유자가 되는 경우가 주로 많은데, <br /> <br />주택은 순수 외국인이 투자개념으로 사들이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현행법상 FTA나 WTO 상호주의에 따라 외국인이 우리 부동산을 사들이는 것을 법적으로 막을 수 없고, 그 상한치의 제한도 없는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나라의 안보나 경제 기반을 위협할 정도로 비중이 커지면 별도의 조처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기봉 (kgb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12915471145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